[공모전] 장위 행복누림 센터

Project Design

Project Description

본 프로젝트는 장위 서울형 도시재생 시범사업으로 선정되어 낙후된 도시를 재생하기 위해 거점시설(주요 인프라) 계획 설계 공모안에 당선되어 2016~2018년 3년에 걸쳐 설계 및 감리를 진행한 프로젝트입니다.

그동안 대한민국의 도심은 급속한 경제발전이라는 미명 아래 많은 경우 낙후된 저밀도 지역을 모두 철거하고 고밀도의 공동주거시설(apt) 개발이 일반적으로 행해졌습니다. 이는 기존 거주민의 삶의 터전이라는 기억을 송두리째 지워버리고 기존 거주민의 커뮤니티를 지워버리는 가슴아픈 행위이기도 했습니다.

낙후된 도시를 개발했던 기존 방법에 대해 좀더 차분하게 접근하는 방식이 도시재생입니다. 

이는 기존 주민의 삶의 방식과 기억을 존중하면서 이들의 삶에 현대적 시설과 필요를 채워주는 것이며 이 모든 과정에 지역의 주인되는 주민들의 요구와 의견을 수렴하여 마을 재생사업에 주민들을 주인으로서 참여시켜 사업의 진행과 더불어 더욱 자기 마을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여 기존보다도 더욱 지역공동체 커뮤니티를 공교히 하는것이 본 사업의 궁국적인 목표입니다.

즉 전면 재개발은 인간의 기억과 커뮤니티를 지우고 건축물 자체의 재개발을 의미한다면 도시재생은 기존 인간의 기억과 커뮤니티를 중점에 두고 이를 지속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제공해주는 방법으로서 접근방법이 아주 다른 방법입니다.

주거공간을 부동산으로 이해한다면 재개발의 논리로 진행되고 주거공간을 삶의 터전이라는 개념으로 이해한다면 도시재생의 방법으로 기획되게 됩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도시재생을 중심으로 시작한 서울시 첫 선도사업으로서  진행되었습니다. 도시는 변화하면서 지속 가능한 성장의 토대를 갖춰야 하는데 특히 한국의 급속한 산업화를 겪으면서 예상치 못한것은 주차장 확보 입니다. 우리는 장위동 재생을 위해 주요 시설로 결정된 공공주차장과 마을 복지공간 설계에 착수하였습니다.  반듯하지 않고 굴곡진 대지 형상에 맞춰(제한된 상황) 지하 공공주차장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스킵플로어라는 독특한 주차시스템을 적용하여 기대 이상을 확보하였습니다.

필요한 실내 복지공간으로서의 프로그램은 성북구청이 주민들 의견을 수렴하여 주민들이 원하던  행복누림도서관2~3층,   공동육아방 및  무더위쉼터(1층)를 계획하게 되었고 성북구청의 지원아래 지속적인 도시재생사업을 지원하기위해 도시재생센터(3층~ R층)를 계획하게 되었습니다.

외부공간으로는 주민들의 커뮤니티의 출발이 되는 여러 행사를 담을 수 있도록 전면공간에는 오픈스페이스를 크게 두어 평소에는 쌈지공원으로 또 행사를 담을 수 있는 다양한 소통의 중심공간으로 활용되도록 계획하였습니다.

저밀도 주거지역이지만 인접건물과의 가까운 간격으로 인해 주민 사생활 침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 우리는 주거지역으로는 창을 최소화 하고 오픈스페이스 정면 마당을 향해 창을 크게 열면서 이를 건축의 개념으로 이끌어내어 형태를 빚었습니다.

여러 주민들의 담론이 이곳에서 만들어지고 정부와의 소통과 주민들의 참여속에 더욱 마을에 대한 애향심이 커져가는 마을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장위동의 마을 발전에 대한 고민은 지금도 진행형입니다.

성북구청과 장위동 주민 모두 건축가의 의견을 필요로 하시면 언제든 달려가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문건축사사무소 연락처 TEL 070 8119 1755

장위 행복누림 도서관  https://www.sblib.seoul.kr/jwlib/index.do  

 

Client

Sungbuk-gu, Seoul

Award

Elected in the contest

Project Date

2016 - 2018

문건축사사무소 / 현상설계공모 / 건축설계 / 장위동 도서관설계 / 장위행복누림복합센터 / 장위동 육아종합지원센터 / 장위동 도시재생센터 


5 Dogok-ro 22-gil, Gangnam-gu, SEOUL, Republic of Korea


T. +07081191755

E. contact@mun-arch.com

MUNARCH is a SEOUL-based studio practice focused on modern design, interiors and landscapes. From our inception in 2016, we have delivered exceptional public. As a full-service firm.